[국토안전관리원] 5월 2주차 콘텐츠
페이지 정보

본문
국토안전관리원 콘텐츠
- 5월 2주차 -
I | 안전 전문자료 |
구분 | 제목 | 내용 | 바로가기 |
건설 안전 | [교육자료_현대건설] 1톤 이상의 크레인을 사용하는 작업 | 알려드립니다-건설안전 라이브러리]에서 키워드 검색 | |
시설 안전 | 건축물관리점검 보고서 검토 사례집 | 건축물관리점검기관의 기술수준 향상을 위해 보고서 검토 사례집 공유
- 개요(발간 배경/목적) - 평가내용 및 우수사례 - 건축물관리법 및 점검관련 FAQ - 건축물관리점검 결과에 대한 평가 관련 제도소개 |
II | 보도용 안전정보 |
구분 | 제목 | 내용 | 바로가기 |
건설 안전 | 수도권지사, '건설현장 안전점검 만족도 조사' | 국토안전관리원 수도권지사가 지난해 10월부터 12월까지 수도권지사를 통해 안전점검을 받은 소규모 건설현장 1,382개소의 현장대리인, 감리자, 건설기술인 등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실시
응답자의 82%가 건설현장 안전점검, 사고 줄이는 효과 있다고 답함
또한 안전점검 확대 찬성 의견은 41.4%, 반대의견은 14.8%로 나타남. |
III | 영상 콘텐츠 |
구분 | 제목 | 내용 | 바로가기 |
시설 안전 | 점검진단 보고서 평가사례교육 - 항만편 | 시설물 정밀안전점검 및 정밀안전진단 관련 업무 수행을 위한 교육 영상(항만편)
1. 진단 계획수립 및 보고서 체계의 적정성 2. 자료조사, 분석의 적정성 3. 외관조사 및 결과분석의 적정성(중요심의 항목) 4. 현장 비파괴시험, 재료시험 등 각종 시험, 분석의 적정성 5. 구조해석, 안전성검토 등의 적정성(중요심의 항목) 등 |
Ⅵ | SNS용 콘텐츠 |
구분 | 제목 | 내용 | 바로가기 |
건설 안전 | [카드뉴스] 건설안전 길잡이 "건설사고 발생시 신고방법" | 건설사고 발생시 신고방법, 절차 안내
1. 목적 : 건설사고 감소 및 통계 관리, 정책자료로 활용 2. 관련근거 : 건설기술진흥법 제67조 3. 신고 주체 : 1) 최초 사고 신고(건설공사 참여자) 2) 자체 사고조사(발주청 및 인허가기관의 장) 4. 신고 방법 : 건설공사안전관리 종합정보망-사고보고/조사 5. 신고 범위 6. 신고 절차 | |
건설 안전 | [카드뉴스] (건설안전 가이드라인)굴착공사-맞음사고(1) | 1. 사고개요 : 터널 천단부가 붕락되어 근로자 사망
2. 재발방지 대책 : 1) 부석,낙반 방지 조치 등을 포함한 작업계획서 작성 2) 작업 전 천단부와 막장 점검 3) 작업 중 부석 및 낙반 발생 여부 점검 4) 현장소장이 지정한 작업지시자 배치 |
- 이전글[국토안전관리원] 5월 3주차 콘텐츠 23.05.17
- 다음글[국토안전관리원] 5월 1주차 콘텐츠 23.05.03
댓글목록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