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국토안전관리원] 7월 2주차 콘텐츠
페이지 정보

본문
국토안전관리원 콘텐츠
- 7월 2주차 -
I | 안전 전문자료 |
구분 | 제목 | 내용 | 바로가기 |
건설안전 | 건축물 해체계획서 예시집 (7종) | 해체계획서 작성 및 검토 관계자의 이해를 돕기위해 건축물 해체계획서 예시집(주택, 상가, 다세대 주택(전이 구조), 아파트, 사무용 건축물(지상층), 사무용 건축물(지하층), 공장)) 배포
[건축물관리지원센터] | |
건설 안전 | 지하안전평가서등 표준매뉴얼 개정판 요약분(2023년 6월) | 지하안전평가서등 업무에 참조하기 위한 표준매뉴얼 개정판 요약분
- 연약지반 굴착공사 평가기준 마련 - 자동화계측의 적용 기준 마련 - 비탈면 구간의 검토범위 기준 - 수치해석 해석영역 기준 - 시추조사 깊이 기준 - 기타 민원 사항
[커뮤니티-자료실]에서 키워드 검색 |
II | 보도용 안전정보 |
구분 | 제목 | 내용 | 바로가기 |
건설 안전 | ‘충청권 스마트 건설안전 관제센터’ 오픈 | 국토안전관리원 건설현장 안전관리를 위한 충청권 스마트 안전 통합관제센터 개소식을 개최
관리원은 충청남도 15개 시‧군과 충청북도 11개 시‧군, 대전광역시 및 세종시를 충청권으로 분류하고 청주시에 있는 충청지사를 통해 안전점검 등 건설현장 안전관리를 담당하고 있음.
14일 문을 연 통합관제센터는 국토교통부와 관리원이 건설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충청권의 18개 현장에 무상으로 지원한 지능형 CCTV, 붕괴위험 방지장치 등 스마트 안전장비를 대상으로 운영. 관제센터는 인공지능(AI), 빅데이터 등 첨단기술을 적용한 시스템을 통해 건설현장의 위험 요인을 사전 인지하여 사고를 예방하는 역할을 수행 | |
건설 안전 | “설계안전성검토 컨설팅 해드립니다” | 국토안전관리원은 1일 광주광역시 도시공사 대회의실에서 설계안전성검토와 관련한 컨설팅을 실시했다고 밝힘
설계안전성검토란 시공 때 발생할 수 있는 위험요소를 설계단계에서부터 차단하기 위한 제도로, 관리원은 건설공사 안전확보를 위해 올해부터 이 검토 보고서 작성과 관련한 ‘찾아가는 컨설팅’을 실시
설계사나 발주청 등을 대상으로 하는 컨설팅은 설계안전성검토 관련 법령, 시공 시 주요 위험 요소, 보고서 작성 후 건설공사안전관리 종합정보망(CSI) 등록 방법 등에 대한 설명을 중심으로 진행되며, 컨설팅은 관리원 담당자에게 공문이나 유선전화 등을 통해 신청 가능 |
III | 영상 콘텐츠 |
구분 | 제목 | 내용 | 바로가기 |
건설 안전 | 관리감독자&공사참여자를 위한 건설안전 및 품질 코칭 | 지자체 대상 건설안전 및 품질 코칭 업무 안내
- 추진 배경 및 목적, 코칭을 통한 기술지원 내용 - 추진 현황 및 경과 - 안전품질 코칭 순서 - 기대효과 | |
건설 안전 | 2023 스마트건설안전 포럼2 - “중대재해 감소를 위한 스마트건설안전기술 활성화 방향” | '중대재해 감소를 위한 스마트건설안전기술 활성화 방향' 주제 발표
- 스마트 안전통합관제센터 구축 및 운영 현황, 운영 추진 계획 - 스마트 안전통합관제센터 지속 운영에 대한 제도 개선안 - 스마트 안전통합관제센터 기능 및 역할에 대한 의견 등 |
Ⅵ | SNS용 콘텐츠 |
구분 | 제목 | 내용 | 바로가기 |
시설 안전 | [카드뉴스] 건축물관리법 정기점검과 시설물점검법 정기안전점검 비교 | 건축물관리법과 시설물점검법 비교 검토
1. 건축물 정기점검 대상 2. 점검방법과 실시주기 비교 3. 관련법령 비교 | |
시설 안전 | [카드뉴스] 건설엔지니어링 사업자 사업수행능력 세부평가기준 일부개정 | 건설엔지니어링 사업자 사업수행능력 세부평기기준 개정 내용 안내
1. 제정·.개정 이유 2. 세부평가기준 개정내용 |
- 이전글[국토안전관리원] 7월 3주차 콘텐츠 23.07.19
- 다음글[국토안전관리원] 7월 1주차 콘텐츠 23.07.07
댓글목록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