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국토안전관리원] 8월 5주차 콘텐츠
페이지 정보

본문
국토안전관리원 콘텐츠
- 8월 5주차 -
I | 안전 전문자료 |
구분 | 제목 | 내용 | 바로가기 |
건설 안전 | 알기쉬운 터널현장점검 포켓가이드북 | 22년도 고위험 터널현장에 대한 집중점검을 실시하고 지하안전 확보방안을 마련한 가이드북 배포
- 기본사항(터널 굴착 방법, 터널의 공법, 점검체크리스트) - 점검사례 - 기타사항(참고자료)
[커뮤니티-자료실]에서 키워드 검색(공지사항) | |
시설 안전 | [개정] 시설물의 안전 및 유지관리 실시 등에 관한 지침(2022.09.28 일부개정) | 시설물의 안전 및 유지관리 실시 등에 관한 지침(국토교통부 고시 제2020-869호, 2020.11.27.)이 다음과 같이 일부 개정 고시
- 붙임1. 시설물의 안전 및 유지관리 실시 등에 관한 지침 일부개정고시안 붙임2. 시설물의 안전 및 유지관리 실시 등에 관한 지침 |
II | 보도용 안전정보 |
구분 | 제목 | 내용 | 바로가기 |
건설 안전 | '스마트 안전장비 활용' 가이드라인 마련 나선다 | 국토안전관리원은 16일, 안전관리가 취약한 중·소규모 건설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‘스마트 안전장비 활용 가이드라인’개발에 착수했다고 밝혀.
「건설기술진흥법」은 스마트 안전장비의 구축 및 사용과 관련한 비용을 안전관리비에 포함할 수 있도록 규정. 이에 따라 스마트 안전장비 개발과 보급이 활성화 되면서 장비 관련 시장도 날로 성장하는 추세. 하지만 건설현장의 종류와 규모에 따른 장비 설치 및 운영, 장비 가격과 성능 등에 대한 제대로 된 기준이 없어 중·소규모 건설업체들이 특히 큰 애로를 겪고 있음.
관리원은 이러한 현실을 개선하기 위해 지난 2021년부터 시행해온 ‘스마트 안전장비 지원사업’을 통해 쌓은 노하우를 바탕으로 건설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을 개발하기로 결정. 올 연말까지 완성될 예정인 가이드라인에는 안전장비 운영 단가 및 인력, 공종별 장비 선정 방안, 설치 계획, 사후 평가 지표 등이 두루 포함될 예정. |
III | 영상 콘텐츠 |
구분 | 제목 | 내용 | 바로가기 |
건설 안전 | 2023 스마트건설안전 포럼5 - 기술교류회 – RX안전교육 발표 | 스마트건설안전 포럼 기술교류회 중 안전교육 발표
- MR 기반 현장맞춤형 스마트 안전교육 컨텐츠 - 중소규모 맞춤형 스마트안전장비 - VR교육 공유 표준플랫폼 기획 및 개발 | |
건설 안전 | 건축물 해체계획서 검토 및 작성법 1부 | 건축물 해체공사 실무자 및 검토자를 위한 해체계획서 검토 및 작성에 관한 주요내용 안내1
1. 건축물 해체 사고사례 및 해체·멸실 통계 분석 2. 건축물 해체 허가 및 감리제도 소개 3. 해체계획서 주요내용 4. 해체계획서 검토 체크리스트 |
Ⅵ | SNS용 콘텐츠 |
구분 | 제목 | 내용 | 바로가기 |
건설 안전 | [카드뉴스] (건설사고사례) 토공사-토사붕괴에 의한 매몰사고 | 건설사고사례 공유 - 터파기 작업 후 상단토사가 붕괴되어 작업자 매몰
1. 사고원인 : 1) 굴착작업 시 굴착면의 기울기 미준수 및 불안전상태 미확인 2) 굴착면 붕괴위험 장소에 대한 작업자 출입통제 소홀
2. 재발방지 대책 : 1) 설계, 발주단계에서 굴착면 안전성 확보 위한 방안 포함 2) 굴착 작업 시 굴착면 기울기 준수 및 임의 시공 금지 | |
건설 안전 | [카드뉴스] (건설안전 가이드라인) 해체공사 - 붕괴사고(1) | 1. 사고개요 : 철거 중인 건물이 도로측으로 붕괴되어 운행하던 차량이 매몰
2. 재발방지 대책 : 1) 이상징후 발견 시 즉시 즉업 중지 후 대피 2) 안전교육 때 제시한 주요 안전시설의 설치 확인 3) 작업지시자로부터 작업순서를 지시받은 후 작업 4) 출입 통제 준수 및 안전조치 이행 |
- 이전글[국토안전관리원] 9월 2주차 콘텐츠 23.09.15
- 다음글[국토안전관리원] 8월 4주차 콘텐츠 23.08.24
댓글목록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